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평수계산법 평수계산기 평수계산법

최근 맨션 분양공고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내부 평면을 기재할 때 대부분 평방미터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59평방미터가 의미하거나 84평방미터가 의미하는 정확한 평수를 알고 싶은 분들도 많을 텐데요, 오늘은 평수계산기를 이용하는 방법과 직접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격적으로자세한평수를어떻게구분할수있는방법들을소개하기위한평수계산법에대해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이런 전용면적은 2009년에 주택법이 개정되면서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서 사실 아직도 평형이라는 단어가 더 친숙하게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으실 겁니다.

여기서 기술하고 있는 전용면적은 실제로 사용되는 부분만을 상정하고 있는 것이며 발코니 부분은 제외되어 계산되어 있다는 점, 공유라고 표기되는 부분은 실내가 아니라 엘리베이터나 복도, 주차장 등에 해당하는 면적이라는 점도 추가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평수계산기는 면적계산기를 입력하고 찾으면 바로 나오고 빈칸에 평방미터 단위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평수로 변환됩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평수 계산법에 대해서 확인을 해봅시다 기본적으로 1평은 3.3m로 표시되어 있을 뿐 아니라 1평을 3.3m로 계산하고 1m의 경우 0.3025평으로 곱하기만 하면 된다는 공식만 알고 있으면 아주 간단합니다.
즉 59 평방 미터의 경우는 59 X 0.3025 이므로 17.84 평이지만 84 평방 미터의 경우는 84 X 0.3025 이므로 25.41 평입니다.

평수계산기에서는 59를 입력하면 바로 평수를 계산해 줍니다.

이렇게 되면 84m는 평수계산법 적용으로 약 25평이 되니까 일반적으로 많이 선호하는 평형대이므로 아파트 모집공고문이나 청약홍보문 등에서 쉽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주택 홍보관에서 설명을 들었을 때 84 평방 미터 타입이 34 평이라고 설명하신 적이 있습니까? 그렇다면 이것은 전용 면적이 아니라 공급 면적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택에서의 주거에 필요한 공간을 전용면적이라 칭하고 있으며 주거에 필요한 공용면적이므로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그 건물 내에서 공용하는 복도나 엘리베이터 1층 현관 등의 면적까지 포함되는 것이 공급면적이라 칭하고 있습니다.전용면적과 공급면적, 계약면적 등 내용이 다른 면적이 있지만 등기부등본에도 전용면적만을 표기하고 시세를 비교파악하기 위해서는 전용면적을 평수계산기로 확인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따라서 주거 공용면적이 얼마가 되느냐에 따라 같은 84평방미터라고 해도 33평, 34평이 될 수도 있고 35평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더 확인해야 합니다.
내 집을 장만하는 경우에도 전용면적과 공용면적의 정확한 개념을 이해하고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비율에 따라 실제 평수가 더 넓어지고 더 좁아질 수 있으니 꼭 알아야 합니다.같은 평형이라도 더 넓게 사는 것만큼 더 만족스러운 주거생활이 또 있을까 싶어요.
지금까지 평수 계산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아주 복합적인 계산법이 아니라 누구나 쉽게 계산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기 때문에 입주 전 내부의 평형을 알아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이렇게부동산에대한기본적인정의내용이나또는자주사용되는단어에대해서는미리알아두는것만큼도움이될것이없다고생각합니다.국민주택면적에 공급되는 59㎡와 84㎡의 경우 업체마다 표기가 다른 부분도 있으니, 정확한 확인을 원하시는 분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평수계산기만 알면 쉽게 해결할 수 있으니 이번 포스팅 기회를 통해 정확히 알고 유용하게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